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은 뒤 숨진 경기 양평군 공무원 A씨의 변사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사망 당일 고인의 유족에게 유서 원본이 아닌 촬영본을 제시했던 초기 조치에 대해 뒤늦게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형사과는 14일 정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며, 사망 사건의 민감성과 사회적 이목이 집중된 상황에서 경찰의 초기 대응에 미흡한 점이 있었음을 시인했습니다. A씨는 이재명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모친 최은순씨 가족 회사와 연루된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 수사의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 조사를 받은 뒤 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경찰은 유족에게 유서 촬영본을 보여준 이유에 대해 "고인의 필적이 맞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하며, 특별한 의도는 없었음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미흡한 점이 있었다. 원본을 열람케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솔직히 시인함으로써, 사건의 투명성과 유족의 정서를 고려하지 못한 점에 대해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유서는 노트 21장 분량으로, 특검 조사 직후부터 사망 전날까지 일기 형태로 작성되었으며, 조사 과정에서 든 생각과 가족에게 전하는 말 등을 담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찰은 유서 원본 열람의 미흡함을 인정하며, 사후 조치를 통해 이를 해소하고자 노력했음을 밝혔습니다. 사망 직후 경황이 없던 유족들은 사흘 뒤인 13일에 비로소 유서 원본을 열람할 수 있었으며, 유족의 요청에 따라 사본 또한 제공받았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비록 사후 조치였지만, 미흡한 점을 치유했다"고 설명하며 유족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현재 유서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필적 감정은 긴급으로 의뢰된 상태입니다. 경찰은 유족의 동의를 얻어 진행 중이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최대한 신속히 유족에게 건네줄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서 내용의 객관적 확인은 변사 사건의 수사 종결과 더불어 특검의 수사 방식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건은 정치권의 공방으로까지 번졌습니다. 국민의힘은 A씨의 메모라며 일부 내용을 공개했고, 이 메모에는 특검의 강압 수사에 힘들다는 내용과 특검이 김선교 의원의 지시에 따랐다는 취지로 진술할 것을 회유했다는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해당 메모에 대해 수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유서만 가지고도 변사 사건에 대한 수사가 충분히 가능한 데다, 해당 메모가 사건과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되지도 않아 수사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더 나아가, 메모는 사건 현장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진위도 알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이는 경찰이 정치권의 주장과는 별개로 변사 사건 수사의 객관성과 사건과의 직접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메모의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주요 증거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법적 판단이 개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A씨의 변사 사건은 김건희 여사 모친 최은순씨의 가족 회사 ESI&D가 양평 공흥지구 아파트 개발사업에서 개발부담금을 납부하지 않은 의혹, 즉 '양평 공흥지구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A씨는 2016년 당시 양평군청에서 개발부담금 관련 업무를 맡았던 사무관급 공무원으로, 추석 연휴 직전인 2일에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 소환 조사를 받았습니다. A씨의 동료들은 연휴가 끝난 10일 출근하지 않는 A씨를 찾아갔다가 집에서 숨진 A씨를 발견했습니다.
특검 수사라는 무거운 압박과 정치적 논란의 한가운데 놓였던 공직자의 비극적 선택은 수사기관의 강압 수사 여부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경찰이 수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검과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하는 만큼, 모든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객관적 결과가 도출되어 고인의 명예가 훼손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경찰의 초기 유서 처리에 대한 유감 표명은 수사 과정에서 인권과 유족의 심리를 세심히 배려해야 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최종 감정서가 나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지만, 국민들의 시선은 이 사건의 결말에 집중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