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3년 만의 쾌거' 대법원, 국내 미등록 특허 과세권 인정
대한민국 국세청이 3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싸워온 '국내 미등록 특허에 대한 과세권'을 마침내 인정받게 되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역사적인 판결은 세수 확보는 물론, 국가의 정당한 과세권을 지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 목차
⚖️ 오랜 법정 공방의 시작: SK하이닉스 소송
이번 판결은 SK하이닉스가 이천세무서를 상대로 제기한 경정거부처분취소 소송에서 비롯되었다. 사건의 핵심은 SK하이닉스가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미국 법인 A의 특허를 사용하며 지급한 사용료에 대해 원천징수한 법인세가 정당한지 여부였다. A법인과 SK하이닉스는 한국에 법인세를 낼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며 국세청에 환급을 요구했고, 국세청이 이를 거부하면서 소송으로 이어졌다.
🎉 33년 만의 승소, '미등록 특허'에 과세권 확보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이날 SK하이닉스의 손을 들어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이는 사실상 국세청의 승소를 의미한다. 1992년 이후 계속된 과세당국의 패소 행진에 종지부를 찍고, 33년 만에 국내 미등록 미국 기업 특허에 대한 법인세 원천징수가 정당하다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번 판결은 국내에 특허를 등록하지 않는 방식으로 세금을 회피해 온 글로벌 기업들에 대한 과세의 정당성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 국가 재정의 호재: 4조원 이상의 세수 효과
이번 대법원 판결은 현재 세수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국가 재정에 단비와 같은 소식이다. 국세청의 추산에 따르면, 현재 진행 중인 관련 불복 소송액만 4조원을 넘어선다. 만약 대법원 판결에서 패소했다면 이 금액을 미국 기업들에 돌려줬어야 하지만, 승소하면서 이 금액을 고스란히 국가 세수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IT 시장의 성장에 따라 앞으로 관련 특허료 지급액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적으로는 수십조원에 달하는 세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 과세권 확보의 배경: 국세청의 노력과 준비
이번 승소는 33년 동안 포기하지 않고 과세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온 국세청의 끈질긴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국세청은 미등록 특허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1976년 당시의 입법자료까지 추적하며 새로운 대응 논리를 마련했다. 또한, 한미 조세조약이 정한 특허 사용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법령 조문을 정비하는 등 치밀한 준비 과정을 거쳤다. 해외 출장 중인 임광현 국세청장은 이번 판결에 대해 "국세청의 저력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자평하며 직원들을 격려했다.
🛡️ 결론: 정당한 과세권 확보와 국부 유출 방지
이번 대법원 판결은 단순히 특정 기업과의 소송에서 이긴 것을 넘어선다. 이는 국가의 주권이자 과세권의 정당성을 확립한 중요한 사건이다. 앞으로 국세청은 이 판결을 바탕으로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특허를 활용하면서도 세금을 회피해온 수많은 외국 기업들에 대해 정당한 과세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는 국부 유출을 방지하고 국가 재정을 튼튼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