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교체 시도' 논란의 운명은? ⚖️ 국민의힘 윤리위, 권영세·이양수 징계 결론 임박

목차
1. 대선 '후보 교체 시도'의 전말... '당헌 74조'의 딜레마 🗳️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힘 내부를 뜨겁게 달궜던 '후보 교체 시도' 논란에 대한 징계 결론이 임박했습니다.
사건의 중심에는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대통령선거관리위원장이 있습니다.
당시 당 지도부는 김문수 당시 대선 후보의 단일화 약속 이행이 미온적이라며, 당헌 74조 2항에 명시된 '상당한 사유'를 근거로 한덕수 전 총리로의 후보 교체를 위한 당원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투표 결과 후보 교체 반대 의견이 더 많아 무산되면서, 이들의 행보는 당내 분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2. 당원권 정지 3년 청구... '상당한 사유'가 쟁점 🤔
국민의힘 당무감사위는 지난 7월 이 두 사람에 대해 당원권 정지 3년이라는 중징계를 당 윤리위원회에 청구했습니다.
이는 당규상 당원권 정지 징계의 최대치에 해당하는 징계로, 그만큼 사안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윤리위는 4일 회의를 마친 뒤 "대부분 결론 났지만 중요 사안이니 숙고하자는 차원"이라며 최종 결정을 11일로 연기했습니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여태 논의 안 했던 쟁점이 몇 가지 있다"며, 특히 '당헌 74조에서 '상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더 고민하기로 했다"고 밝혀, 징계의 명분이 되는 핵심 쟁점을 둘러싸고 고심하고 있음을 내비쳤습니다.
3. '친한(親한동훈)계' 김종혁 전 최고위원 징계 논란까지 💥
이날 윤리위는 권영세 전 위원장 등의 징계 외에도 또 다른 징계 사안을 논의했습니다.
바로 친한(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여부입니다.
김 전 최고위원은 방송과 SNS 등에서 계파 갈등을 조장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당사자 소명을 듣고 징계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는 최근 국민의힘 내부의 복잡한 계파 갈등 양상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징계의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지 주목됩니다.
4. 윤리위의 결정, 당내 권력 구도에 어떤 영향 미칠까? 💡
국민의힘 윤리위의 이번 결정은 단순히 개인에 대한 징계 문제를 넘어, 당내 권력 구도와 리더십 향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당무감사위의 청구대로 중징계가 확정된다면, 이는 대선 당시의 혼란을 정리하고 당의 기강을 바로잡겠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징계 수위가 예상보다 낮거나, 징계가 기각될 경우, 당내에서는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과 함께 계파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오는 11일, 국민의힘 윤리위의 최종 결정이 당의 미래에 어떤 이정표를 제시할지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