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로커비 1600만원... 노동력 착취까지"... 전남 조선소 이주노동자 불법 행위 고발
이주노동자 시민단체, 경찰에 브로커 및 조선소 직원 고발... 조직적 범죄 규탄
📖 목차
✊ 이주노동자 시민단체, 전남경찰청에 고발장 제출
이주노동자들을 지원하는 시민단체인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가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직적인 금품 갈취와 노동력 착취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경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네트워크는 10일 오전 전남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주노동자들의 절박한 처지를 악용한 조직적 착취이자 명백한 범죄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에는 방글라데시 국적 브로커와 전남 지역 조선소 직원 등 2명을 사기·금품수수 금지 위반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 '입국 과정의 불법 행위': 1600만원에 달하는 브로커비
네트워크에 따르면, E-7(특정활동 비자) 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한 방글라데시 국적 이주노동자들은 입국 전부터 심각한 불법 행위에 시달렸다. 현지에서 활동하는 브로커들이 이주노동자들에게 1인당 무려 1,600여만원이라는 거액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절박한 심정의 피해 이주노동자들은 빚을 내어 현금과 계좌 이체를 통해 이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었다고 네트워크는 설명했다.
⛓️ '입국 후의 착취': 금품 수수 및 노동력 착취
문제는 입국 후에도 계속되었다. 브로커에게 지불한 돈이 끝이 아니었다. 이주노동자들이 근무 중인 전남 지역 조선소의 한 직원에게 700여만원이 추가로 전달되었다는 충격적인 사실도 드러났다.
이러한 금품 갈취 외에도 노동력 착취도 자행되었다. 브로커와 조선소 직원은 이주노동자들에게 "자기 말을 듣지 않을 경우 본국으로 보내버리겠다"는 협박을 서슴지 않았고,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차 사용을 방해하는 등 부당한 방법으로 노동력을 착취했다고 네트워크는 주장했다.
💔 피해 노동자, 사실상 해고... 전수조사 촉구
이러한 부당한 요구에 저항한 이주노동자들은 결국 불이익을 당했다. 브로커의 요구에 응하지 않은 이주노동자 2명은 사실상 해고를 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네트워크는 해당 조선소가 피해 노동자들에게 사과하거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전라남도와 고용노동부에 이번 피해 현황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 결론: 이주노동자 인권 보호, 사회의 책임
이번 사건은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오기 전부터, 그리고 입국 후에도 얼마나 취약한 환경에 놓여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국 사회는 이들이 우리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브로커와 사업주의 착취로부터 이들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통해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고 책임자들이 엄벌에 처해지는 것은 물론, 정부와 사회가 나서서 이주노동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이러한 불법 행위를 뿌리 뽑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