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년전 北침투' 트럼프 금시초문?…"반드시 직접승인 필요"

by bin09 2025. 9. 6.
반응형
🕵️‍♂️ "북한 침투 작전, 대통령 승인 필수"... NYT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비밀 작전' 폭로
사진:연합뉴스

🕵️‍♂️ "북한 침투 작전, 대통령 승인 필수"... NYT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비밀 작전' 폭로

2019년 미 해군 특수부대 '실 팀6'의 김정은 도청 작전... 트럼프 "처음 듣는 이야기" 일축

🚀 2019년, 북한 영토에 투입된 미군 특수부대

지난 2019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도청하기 위해 미 해군 특수부대 '실 팀6(SEAL Team 6)'를 북한 해안에 침투시켰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작전은 당시 뉴욕타임스(NYT)의 보도를 통해 알려졌지만, 이번에는 관련 기사를 쓴 NYT 기자가 직접 인터뷰에 나서면서 더욱 자세한 내막이 공개됐다.

NYT의 국가안보 담당 데이비드 필립스 기자는 지난 5일(현지시간) 공영라디오 NPR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특수부대는 발각 가능성을 우려해 작은 선박에 탄 민간인 2~3명을 사살한 뒤 철수했다"는 전현직 당국자들의 전언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처럼 은밀하고 위험천만한 작전이 실제로 수행되었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 NYT 기자 "대통령 승인 필수적"... 트럼프 반응은?

필립스 기자는 인터뷰에서 해당 작전의 성격상 대통령의 직접적인 승인이 필수적이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 영토에 미군을 투입한 상황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인질 사태로 이어지거나 핵전쟁으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즉,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아닌 이상 감히 명령할 수 없는 극도로 위험한 작전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그는 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확인해볼 수 있지만 난 아무것도 모른다. 지금 처음 듣는다"고 선을 그었다. 필립스 기자의 주장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답변은 서로 충돌하며, 진실 공방의 여지를 남겼다.

📁 '비밀 작전' 은폐, 그리고 바이든 행정부의 뒤늦은 보고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 작전 내용을 연방의회 지도부에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필립스 기자는 "관련법에 따라 비밀 작전은 의회에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고 밝히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 법을 위반했음을 시사했다.

이후 2021년 출범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이 비밀 작전 내용을 인지했고, 뒤늦게 의회에 통보했다는 것이 필립스 기자의 전언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비밀 작전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언론 제보, 왜 '비밀'을 폭로했나?

필립스 기자는 전현직 당국자들이 이처럼 민감한 비밀 작전 내용을 언론에 제보한 이유에 대해서도 밝혔다. 그는 "성공사례만 공개되고 실패는 비밀에 묻히면 특수부대는 무조건 성공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진다"며, "이는 대중뿐만 아니라 정책결정자에게도 왜곡된 시각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국가 안보를 책임지는 고위 관계자들이 비밀 작전의 실패 사례를 공개함으로써, 향후 무분별한 특수 작전 명령을 막고 현실적인 판단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었음을 보여준다.

⚠️ 성공에 가려진 실패, 그리고 '잘못된 인식'

이번 폭로는 미국 정부의 비밀 작전이 늘 성공적이고 완벽하다는 대중의 막연한 믿음에 경종을 울린다. 특히 민간인 사살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는 작전의 실패를 넘어선 도덕적 책임의 문제까지 제기한다.

필립스 기자의 인터뷰는 단순히 과거의 비밀을 폭로하는 것을 넘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결정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결정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 책임에 대해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미국
#북한
#비밀작전
#트럼프
#뉴욕타임스
#SEALTeam6
#김정은도청
반응형